다시 보는 2019년 일본불매운동

평론 2023. 1. 17. 22:51

개인적으로는 2022년 재출시한 포켓몬빵 열풍 이후로 2019년의 일본 불매운동은 사실상 끝났다고 생각한다.

게다가 최근 개봉한 슬램덩크 극장판 관람으로 인하여 불매운동에 긍정적인 인터넷 커뮤니티에서는 논쟁이 일기도 했다.

앞으로의 일본을 향한 불매운동이 어떻게 전개될지는 모르겠지만 개인적인 소견을 자유롭게 기술해 보고자 한다.

 

2019년에 새롭게 시작된 일본불매운동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었던 것 같다.

1. 구심점이 없었다: 이 부분 장점일수도 있고 단점일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구심점이 없었기에 자유롭게 운동을 전개할 수 있었다. 관에서 통제하고 정치적으로 이용하려는 여지가 줄었다. 반면에 주최측이 없었기에 지금 상황이 진행중인지 끝난것인지 애매하다. 하지만 끝이 있어야 새롭게 시작할 수 있다. 그것을 누군가는 분석하고 알려주어야 했다.

위에서 밝혔듯이 개인적으로는 이미 끝났다고 생각한다. 우리의 기분이 좀 나아지는 거라면 의미가 있을 수 있다. '할 수 있는만큼만 한다', '생활화' 라고 포장해도 그것이 상대국가의 정책에 변화를 주지 못한다면 의미가 없다. 갈 수 있는만큼만 간다면 그것은 이동이지 운동이 아니다.

2.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전파가 이루어졌다: 여러 경로로 신속한 전파가 이루어지고 노노재팬 사이트 개설 등 다양한 모습으로 불매운동이 전개되었다.

3. 소비(재)위주의 불매운동이었다: 바로 이 부분이 2019년 불매운동의 가장 큰 약점이라고 생각한다. '소비'라는 근본적인 활동을 돌아보는 데 까지는 이르지 못하였다. 소비 자체를 줄였다면 대체재 구매와 불매 사이에서 고민할 일도 줄어들지 않았을까?

그리고 원자재 수출 규제에 소비재 불매로 보복하는 것도 뭔가 옳은 전략은 아니었다고 본다. 결국 피해를 입었던 것은 한국과 일본 내의 자영업자였던 것 같다. 일본맥주 안마시고, 유니클로 감시반 돌리고, 일본여행 안 가면 일본 정부의 입장이 바뀔까? 가게 매출만 줄어들었을 것이다.

 

다음번에는 언제 전국적인 규모로 일본 불매운동이 불붙을지는 잘 모르겠다.

하지만 지금처럼 서민끼리 피해보는 불매운동은 지양했으면 한다.

 

통신설비기능장, 전자계산기기사 합격 후기

카테고리 없음 2023. 1. 17. 19:10

2022년 4회차에서 국가기술자격 2종을 취득하여 합격 후기를 공유합니다. 통신설비기능장과 전자계산기기사를 취득하였습니다. 우선 통신설비기능장은 정보처리기사 취득 후 실무경력 조건(산업기사 이상 취득 후 5년 이상)이 되었던게 응시 계기였습니다. 그동안 게임개발 업체, 전산유지보수 등으로 경력을 쌓았으므로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에서 경력 증명을 받았습니다.

 

필기시험은 2019년 4회차에 합격했었고, 이후 2021년 4회차 때에 한번 더 합격했습니다. 필기시험은 기출문제를 풀어 봄으로써 대비하였고, 실기시험에 비하면 쉬운 편이었습니다. 기능사와 같이 과락이 없고, 합격선만 넘으면 되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처음 필기시험에 합격했을 때에는 딱 합격점을 받은 것으로 기억합니다. 필기시험 면제기간 때문에 다시 응시한 2021년 시험에서는 몇점을 받았는지 모르겠습니다.

 

실기시험은 여러 유형의 작업형 과제가 있기 때문에, 저는 2017년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작업형 실기를 준비할 때 다녔던 학원에 등록하였습니다. 다른 분들은 네트워크 과제를 어려워하시는거 같지만 저는 오히려 이부분이 가장 할만했습니다. 타자속도가 빠른 것도 있었고, 명령어를 잘 외우면 됐기 때문입니다. UTP케이블 제작 역시 간과할 수 없는데, 저는 2022년 4회 시험 험 약 2주 전부터 하루에 한번씩 제작했습니다. 다행히 운이 좋아 어떤 회차에서도 UTP 케이블 제작으로 실격하지는 않았습니다.

 

회로조립은 제게 매우 어려웠는데 2020년에는 2시간 걸려도 완성을 제대로 못했지만, 2022년에는 거의 모든 회로를 45~50분내에 완성가능하게 되었습니다. 원장님이 회로도 그려보는 것을 강조하셨는데 저는 모눈종이에도 그려보고, 농도를 낮춰서 복사한 후 그 위에 따라그려보기도 하고 다양하게 수십번씩 반복했습니다.

 

아무튼 네트워크와 회로조립 과제 공히 학원에서 문제풀이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요령을 알려 주신 점이 유효했습니다. 2022년 1회차 때에 부끄럽게도 광섬유절단기 사용이 익숙치 않아 실격했었는데, 학원에 요청하여 다른 종류의 절단기로도 연습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정작 시험날에는 학원에서 절단기를 빌려서 응시했습니다. 광섬유절단기는 실기시험 지참가능한 공구목록 중 하나이므로, 이 외에도 연습할 때에 꾸준히 사용한 장비가 있다면 대여하는 것도 괜찮을 것 입니다.

 

1유형 필답형 문제의 경우 실격조건이 없어 다른 과제보다는 부담이 덜하지만 그래도 몇 점 챙겨가려면 대비를 해야 했습니다. 다행히 이 부분 학원에서 기출문제를 연습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어떻게 일정이 맞아서 모의시험일에 학원에 갈 수 있었는데, 시험 당일에 저지를 수 있는 실수에 좋은 대비가 되었습니다.

 

아무튼 2번 결시를 제외하고 실기는 4회 응시했으며,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실기 시험장은 2021년 4회 때 ICT폴리텍 대학을 제외하면 전부 폴리텍1대학 정수캠퍼스를 골랐습니다.

2020년 1회: 시간내에 회로완성(D/A변환회로) 못해서 실격. 네트워크 과제는 PING 신호만 보냄.

2021년 4회: 시간내에 회로완성(ASK 파형 회로) 못해서 실격. 네트워크 과제완료.

2022년 1회: 회로조립(FSK 파형 회로) 후 측정까지 마쳤으나 광케이블 측정 못해서 실격.

2022년 4회: 합격. 1과제 필답문제는 운좋게 한번씩 본 문제가 나왔고 크게 어려운 것이 없었습니다. 회로조립 과제로는 D/A변환회로가 나왔고, 파형 출력까지 50분 걸린 것 같습니다. 네트워크 과제는 정확한 소요시간이 기억나지 않지만 생각보다 빨리 완성을 하였습니다. 다만 TFTP 서버와의 통신이 되지 않아 장비의 컨피그 파일은 컴퓨터 바탕화면에 저장하였습니다. 광케이블 접속 및 측정은 대략 10~15분 걸린것 같습니다.

점수는 76점이었는데, 합격했으므로 크게 의미는 없지만 제가 모르는 어딘가에서 많이 감점이 된 것 같습니다.

전자계산기기사는 학원에서 갖고 있던 기출자료를 보기도 하였고, 관련 네이버 카페에서 더 많은 자료를 활용하여 62점으로 아슬아슬하게 합격했습니다. 필답형만 남아있는 종목이라서 기능장 종목과 병행할 수 있었습니다.

좋은 연습 환경을 제공해 주신 학원측에 감사를 드리고, 이 글을 읽어주신 분들께도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소프트웨어자산관리사 2급시험 합격 후기

카테고리 없음 2022. 11. 3. 15:46

2019년에 이 자격을 취득했지만 갱신기간을 놓쳐서 시험을 다시 보았습니다.

이전에 저작권법에 대한 대학수업을 수강한 적은 있지만, 수험준비는 여건이 안되어 따로 하지 못하였습니다.

 

시험은 2022년 제2차 시험을 부산에서 응시했고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그리고 기존의 자격증 번호는 이번에 나온 새로운 번호로 대체되었습니다.

 

2022. 02. 17. 낙성대 향라선촨촨향에서 저녁 식사

일기 2022. 2. 17. 20:55

 

훈툰(만두국)과 볶음밥을 먹었습니다. 볶음밥에 계란향이 잘 스며들어 맛이 좋았습니다.

국물요리인 훈툰을 같이 주문한 것도 괜찮은 선택이었던것 같습니다.

 

Ecoacoustics(음향생태학)

카테고리 없음 2021. 12. 17. 02:48

최근 교수님 라이브 방송때 제목에 적힌 과목에 대해서 문의드렸었습니다.

다시 간단히 찾아 보니 우리말로 대략 '음향생태학'으로 불리는거 같습니다.

주변 환경과 소리의 관계를 연구하는 과목으로 생각 됩니다.

그 시작은 작곡가인 머레이 쉐이퍼 교수(R. Muarry Schafer)의 1993년 저서

「Soundscape(사운드스케이프)」라는 책입니다.

한국에는 아직 생소한 개념으로 보이고 저도 이번에 처음 알게 되었습니다.

아무튼 교수님께서 답해주신 것과 제가 나름 찾아본 것을 취합해 보니

이 과목은 음향학이나 음향공학 과정에서 배우는거는 아니고,

환경공학이나 생태학 분야에서 학습하는 과목인거 같습니다.

해외 유학생분이 이 과목을 수강하려다가 비전공자에겐 어려운 과목이라는 이유로

거절당한 얘기를 보고, 통상의 음향학 과정에서 접하는 과목이 아닌거 같아

제가 방송때 교수님께 문의드린 것이었습니다.

 

https://cafe.naver.com/previsions/6308

독일 머크(Merck)와 미국 머크(MSD)를 구분해서 보도하면 좋겠네요

카테고리 없음 2021. 10. 4. 17:50

이번에 코로나19 치료제 몰누파라비느를 개발한 곳은 미국의 머크인 MSD입니다.

독일 머크는 한국에서 대략 '한국 머크'라고 하고 미국 머크는 '한국MSD'라고 합니다.

미국의 머크를 북미 외 지역에서는 MSD라고 부르나 봅니다.

둘 다 제약사업을 하는 것은 같은데 독일쪽 머크는 소재분야 사업도 하는것 같습니다.

원래 독일업체인 머크사는 1차대전 패전후 미국에 지사를 몰수당한것을, 

미국에 있던 조지 머크라는 분이 환수해서 회사를 다시 세운거라고 합니다.

 

언론보도에 따라 MSD라고 하는 곳도 있고, 미국 머크 등으로 칭하는 곳도 있지만 가급적 통일했으면 좋겠습니다.

퇴직금 받기 전후 확인해야 할 것

카테고리 없음 2021. 9. 27. 23:22

제가 여러 직장을 거치면서 퇴직금과 관련, 확인해야 할 내용을 제 경험과 법규,

신문기사 및 나무위키 등 여러 내용을 참고하여 아래와 같이 5가지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글을 보시는 분의 근로계약이 제 경험과 다를 수 있으므로 반드시 교차 검증을 하실 것을 당부드립니다.

제 경험을 말씀드리면, 제 기억으로는 법정퇴직금, 확정기여형 퇴직연금, 확정급여형 퇴직연금 제도를 통해 최소 한번씩은 퇴직금을 받았습니다. 법정퇴직금과 확정급여형으로는 무난하게 14일 내로 퇴직금을 수령했으나, 확정기여형의 경우 이런저런 이유로 30일 넘어서야 퇴직금을 수령할 수 있었고 제 실수로 지연이자를 추가로 받지 못했습니다.

 

1. 퇴직금 산정 방식

법정퇴직금, 퇴직연금제도(확정급여형과 확정기여형). 법정퇴직금 제도는 퇴직 직전 3개월간의 평균임금에 근속일수를 곱하여 산정합니다. 확정급여형(DB)와 확정기여형(DC)는 사측에서 외부 금융기관에 퇴직금으로 받을 금액을 적립하는 것입니다.

 

2. 연봉에 퇴직금이 포함되어 있는가?

연봉에 퇴직금이 포함되어 있으면 불법이라고 하는 경우가 많으나, 법정퇴직금인지 아니면 퇴직연금인지, 그 외에 계약 기간이나 계약한 연봉에서 퇴직금이 얼마만큼 사용되는지에 따라 적법성 여부가 갈리는 것 같습니다.

 

3. (퇴직연금제도일 경우) DB형인가 DC형인가?

DC형의 경우 사측에서 투자를 해서 수익을 낼 수 있다느니 사탕발림을 할 수도 있는데, 퇴직연금제라면 회사에서 운용하고 계산해 주는 DB형이 개인적으로 더 나은것 같습니다.

 

4. (법정퇴직금제도일 경우) 평균임금 산정이 제대로 되는가?

상여금의 경우 연간 받은 금액에서 3개월분만 평균임금으로 반영됩니다. 상여금제도가 없는 회사인데도 급여 일부가 상여로 반영되었다든가 하면 사측에 문의하여야 할 것입니다. 하지만 근로자 입장에서 따지기가 쉽지 않습니다.

 

5. 퇴직 후 14일 내에 지급이 되며, 늦어질 경우 지연이자 지급이 되는가?

근로기준법 제36조에 따라 모든 금품은 근로자의 사망이나 퇴직 등 지급 사유가 발생한 때로부터 14일 내에 지급되어야 합니다.

특별한 사정이 있으면 이 기일은 연장을 할 수 있지만, 넘겼을 경우에는 지연이자를 지급받아야 합니다.

간혹 지연이자를 물지 않겠다고 사측에서 동의를 구할 수 있습니다. 이 때에 손해를 보지 않도록 잘 확인해야 합니다.

 

가끔 퇴직금을 적게 주려고 교묘하게 속이는 회사들이 있는데 근로자의 미래까지 착취하는 안 좋은 행동이라고 생각합니다.

 

Let's use Xiaomi thermo-hygrometer

카테고리 없음 2021. 8. 20. 06:39

I have measuring and eletronic devices in my shoe rack, bought a Xiaomi's meter to check the temperature and hunidity. It's availabie on AliExpress or other global malls, but as they're imported and being sold, so you don't need to buy from there.

 

A meter, holder, double-sided tape, magnet, and manual is in the pacakge. You can use the tape put it on a wall and the magnet on a refrigerator. The display is E-ink(electrophoretic display) and it will not consume power unless displaying content is changed.

 

You have to pull and remove insulation film on the battery before use it first. I've pulled it out while the down side of the back plate is opened. It will need more strength to detach the upper part of the plate, you have to be careful. It uses one CR2032, 3 nominal voltage lithum battery.

 

I've checked the values after put it in the shoe rack. It seems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s adequate as air-conditioning is working in the room.

샤오미 온습도계를 사용해 보자

카테고리 없음 2021. 8. 20. 06:18

 

신발장에 계측장비와 전자제품을 보관하고 있어서, 온도와 습도가 적당한지 확인하기 위하여 샤오미 온습도계를 구입하였습니다. 알리익스프레스 등에서 구입가능하지만, 한국에서도 수입해서 판매중이므로 굳이 직구할 필요는 없는 것 같습니다.

 

구성품은 온습도계 본체, 받침대, 양면테이프, 자석, 설명서입니다. 양면 테이프는 벽면에 붙이는데에, 자석은 냉장고 등에 부착해서 사용가능합니다. 제품의 화면은 전자잉크(전기영동식 디스플레이) 이고 표시내용이 바뀌지 않으면 전력을 소비하지 않습니다.

 

처음 사용하기 위해서는 건전지에 끼어 있는 절연필름을 뽑아서 제거해야 합니다. 저는 뒷판의 아래쪽만 벌리고 절연필름을 잡아당겼습니다. 뒷판 뚜껑 위쪽까지 떼어내려면 힘이 더 필요하므로 주의해야 할 것입니다. 전원으로는 공칭전압 3볼트인 CR2032 리튬 전지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신발장에 넣은 후 조금 지나서 온도와 습도를 확인해 보았습니다. 에어컨 가동중이어서 온도와 습도는 적정 상태인 것 같습니다.

알지도 못하는 규칙을 따르라고?

평론 2016. 10. 15. 11:43


취업 포털에서 채용공고를 보다 보면 '급여: 회사내규에 따름'이라는 근무조건을 자주 접하게 된다.

여기서 '회사내규'라는 것은 근로기준법 제93조에 따라 상시근로자수 10인 이상인 사업장에서 의무적으로 작성하게 되어 있는 '취업규칙'을 말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 회사내규에 따른다는 것은 회사가 만들어놓은 급여 규칙에 따르라는 말일 것이다.

그러나 여기에는 두 가지 문제가 있다. 첫번째로는, 당신이 지원하고자 하는 회사의 취업규칙을 알기 어렵다는 것이다. 경영공시가 되어 있고 회사 홈페이지에 취업규칙을 게재하지 않는 한 '아직은' 외부인인 구직자가 취업규칙을 알기란 거의 불가능이다.

두 번째로는, 취업규칙에는 당신이 받아야 할 임금액수는 기록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다. 근로기준법 제93조의 2에는 '임금의 결정·계산·지급 방법, 임금의 산정기간·지급시기 및 승급(昇給)에 관한 사항'을 기록하게 되어 있다. 당신이 얼마를 받을지는 사측과의 근로계약에서 정하는 것이지 공개적인 장소에 비치되어 누구나 열람할 수 있도록 한(근로기준법 제14조) 취업규칙에는 없다는 말이다.

따라서 당신의 연봉에 대한 회사내규 따위는 없다. 지원할 회사가 10인 미만 규모라면 이는 더욱 확실하다. 취업규칙 작성 의무가 없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기업들이 회사내규를 고집하는 이유는 간단하다. 당신이 얼마를 받을지 정보를 알려주지 않겠다는 의도이다. 그래야 대등해야 할 노사관계에서 당신을 조금이나마 더 불리하게 만들고, 당신을 저렴한 가격으로 부릴 수 있기 때문이다.

요즘은 '크레딧잡'이라는 서비스를 이용하면 회사의 평균 연봉뿐만 아니라 월별 입사자 및 퇴사자 수 파악까지 어느 정도 가능하다. 다만 3인이상 기업만 조회가능하며, 정보를 공개하길 거부하는 기업도 있다는 것이 단점이다.